[기사][매일경제] "은둔 청년들 어떻게 하나요"···관련 지원책 부재한 지자체들 [스물스물] (23.03.18)

조회수 416

"은둔 청년들 어떻게 하나요"···관련 지원책 부재한 지자체들 [스물스물]


지방 거주 은둔 청년 통계 부재
은둔 청년 정책 없는 지자체 많아



#부산에 거주하는 은둔 청년 A씨(30)는 은둔생활을 한 지 14년째다. 어렸을 적 겪었던 가정폭력이 은둔 생활의 계기가 됐다. 사회로 나오기 위해 ‘니트족(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이르는 말)’ 지원 프로그램이라도 신청하려던 A씨는 서류를 구비하는 과정에서 포기했다. 사회 생활을 해본 적이 없어 서류를 떼는 방법조차 몰랐고 ‘콜포비아(전화 통화를 기피하는 성향)’ 때문에 전화문의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A씨는 “차라리 장애등급을 받았으면 한다”며 좌절감을 드러냈다.


17일 매일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A씨와 같이 지방에 거주하는 은둔 청년에 대한 관심과 지원 정책이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서울시가 서울에 거주하는 은둔 청년이 13만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해 화제가 됐으나 일부 지방은 은둔 청년 통계나 지원조례도 부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에 거주하는 은둔 청년들이 지원 사각지대에 내몰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도시인 부산에도 은둔 청년에 관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없다. 부산복지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부산에 거주지를 둔 은둔 청년은 2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부산시는 니트족, 무기력 청년 등을 한데 모아 ‘무직’에 초점을 맞춘 지원 정책만 실시하고 있었다.


은둔 청년의 자립을 돕는 ‘푸른고래 리커버리센터’ 김옥란 대표는 “은둔 청년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니트족이나 청년 취약계층과 섞여 진행되곤 하는데 이는 은둔 청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 말했다.


니트족은 은둔생활의 전 단계라 말해진다. 니트족은 구직활동을 거부할 뿐, 대인관계를 원활히 하면서 각종 사회 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은둔 청년과는 구별된다. 그러나 현재 은둔 청년에 대한 공식 정의도 없어 이들에 대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공통된 사회적 인식이 없어 지자체마다 정의하는 ‘은둔’은 각기 다른 실정이다. 서울시가 이번 조사에서 정의한 ‘은둔 청년’은 한 달 내 직업, 구직 활동이 없으면서 집에서만 생활한 지 6개월이 넘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 부산시가 정의한 ‘은둔형 외톨이’는 3개월 이상 외부와 단절된 상태로 생활하는 이들을 가리킨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은둔 청년에 대한 개념 정의를 어떻게 할지 논의 중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단어 정의부터 명확히 돼야 지원 정책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울산시에는 니트 청년과 관련된 통계만 있고 은둔 청년에 대한 지원조례는 제정되지 않은 상태다. 대구시는 지난해 사회적 고립 청년지원 조례를 만들었으나 실제 지원 정책수립까지 논의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자체가 망설이는 사이 은둔 청년들은 계속해 방치되고 있다.


코로나 때 직장 해고로 은둔생활을 시작하게 된 대전에 사는 은둔 청년 B씨(30대)는 “도움 자체를 요청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존감이 낮다”며 “지자체에서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주고 소통하면 힘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학생 때부터 은둔생활을 시작한 C씨(32)는 “제일 먼저 선행돼야 하는 게 심리치료나 정서적으로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라며 심리적 지지가 간절하다고 말했다.


반면 광주시는 은둔 청년 지원 모범 사례로 꼽히는 지자체다. 광주시는 2019년 전국 자치단체에서 처음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를 제정했고 지난해 10월 ‘은둔형외톨이 지원센터’를 개소했다. 센터가 지난해 말까지 지원한 은둔 청년은 총 40명이다. 센터 관계자는 “은둔생활을 하는 이들은 과거 학교폭력을 당했다거나 이로 인한 트라우마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은 다시 은둔 생활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기에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부 지자체들은 은둔 청년 실태 조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부산복지개발원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께 은둔형 외톨이 지원 5개년 계획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은둔 청년에 대한 공식적 집계가 이뤄지지 않은 인천시도 “10월까지 실태조사 실시해 현황 파악할 예정이다”라고 알렸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은둔 청년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실태조사추진 계획안 마련 중”이라고 전했다.


기사 바로가기